식도 열공 탈장
식도 열공이란 횡격막에 있는 식도가 지나가는 구멍을 말합니다. 횡격막은 흉부(폐나 심장 등)와 복부(위와 장 등)의 경계가 되는 근육으로, 식도 열공에서 위가 튀어나와 횡격막의 상부에 도달하는 것을 식도열공 탈장이라고 합니다.
식도 열공 탈장은 크게 3가지로 분류되는데, 위와 식도의 연결부가 고스란히 위로 나오는 "활탈형"이 가장 많습니다. 그 외, 위의 일부가 횡격막 위에 나오는 "방식도형"이나, 접속부가 위로 올라가면서 위의 일부가 나오는 "혼합형" 등이 있습니다.
식도 열공 탈장은 고령자나 비만체형인 사람, 임산부나 경산부(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 등에 많이 보이는 편입니다.
식도 열공 탈장 원인
식도 열공 탈장은 식도의 고정이 느슨해져 버리는 것이 주된 원인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복부의 압력이 높아지고 위가 밀려 올라가 버리는 형상을 고정이 느슨해진다고 표현합니다. 그 때문에 식도 열공 탈장은 위장에 내장지방이 많이 붙어 있는 비만체형인 사람을 비롯해 임산부나 경산부 등에 많이 나타납니다.
또, 복부의 압력은 흡연이나 복수, 기관지 천식 등에 의해서도 오를 수 있기기 때문에, 이에 해당하는 사람은 주의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노화에 읜해 횡격막의 조임이 느슨해져 식도 열공이 퍼져 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식도 열공 탈장 증상
식도 열공 탈장은 "위에서 신맛이나 쓴 것이 입 또는 목으로 올라오다", "가슴이 타오르는 것처럼 아프다", "트림과 메스꺼움을 느끼는 횟수가 늘었다" 등의 자각 증상이 많이 나타납니다. 이것은 식도 열공에서 돌출해 온 위의 일부에 위산이 쌓여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 상부에 나온 위가 심장이나 폐등을 압박해, 호흡 곤란같은 증상이 나오는 경우도 있으며, 최악의 경우 위가 뒤틀려 버림으로써 식사 중에 자주 얹혀 잘 삼킬 수 없게 되는 "삼킴 장애"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식도 열공 탈장 검사 및 진단
식도 열공 탈장은 엑스선 검사나 CT, 상부 내시경 검사, 상부 소화관 조영 검사(위 바륨 검사) 등을 통해 식도와 위의 상태를 확인하여 진단을 합니다. 예를 들어, 상부 내시경 검사에서는 입이나 코를 통해 내시경(위 카메라)을 삽입하여 식도 열공의 느슨함 등을 직접 확인해 가는 방법을 사용하며, 이 때에 역류성 식도염이나 식도암, 위암 등의 유무도 함께 확인합니다.
상부 소화관 조영 검사에서는 바륨을 마시고 음식물이 식도에서 위를 통과할 때의 상황을 검사하는데, 이 때 바륨이 역류하고 있지 않은지의 여부도 체크하여, 역류성 식도염의 진단을 붙이기도 합니다.
식도 열공 탈장 치료
우선 생활습관의 개선이 기본이 됩니다. 비만을 해소하기 위해 식사 방법을 개선하는 것 외에도 의사에게서 "식후 바로 눕지 않기", "적당한 운동 하기", "벨트로 배를 조이지 않기" 등과 같은 조언을 듣기도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 증상으로 고민하는 사람에게는 위산 분비를 억제하기 위한 약 등을 처방하기도 하는데, 덧붙여 이러한 치료로 개선이 보이지 않거나, 혹은 탈장이 크거나 하는 경우에는 수술을 실시하기도 합니다. 이는 위에서 나온 탈장을 올바른 위치로 되돌리고 조임이 느슨해진 횡격막을 조제하기 위한 처치를 가리키는데, 배에 작은 구멍을 여는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이 되기 때문에 몸에 부담이 매우 적습니다.
예방/치료 후 주의
식도 열공 탈장에 수반되는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을 방치하고 있으면, 식도에 궤양이 생기거나, 식도암에 진행하거나 하는 일도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경쓰이는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빨리 의료 기관에서 진찰을 받아야 하며, 특히 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합니다.
또, 약물요법에 의해 가슴앓이나 메스꺼움 등의 증상이 개선되었다 해도 탈장이 있는 한은 재발하기가 쉽고, 장기간에 걸쳐 약의 복용이 필요하게 되는 케이스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한동안은 의사의 지시에 따라 약을 계속 마셔야 합니다. 따라서 평소부터 식사와 생활습관의 개선을 도모해 나가는 것이 식도 열공 탈장을 예방하는 지름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