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디슨병 증상 및 원인과 치료, 검사

애디슨병

면역반응 등에 관련된 코르티솔이나 알도스테론, 안드로겐과 같은 부신피질호르몬의 분비가 만성적으로 생체의 필요량 이하로 저하되는 만성 부신피질기능저하증. 그 중에서도 특히 부신피질 자체의 병변에 의한 원발성을 애디슨병이라고 부릅니다. 1955년에 영국의 내과 의사 토마스 애디슨이 발견한 것으로부터 그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주된 원인은 결핵을 대표하는 감염증이나 자가면역질환, 암의 전이 등이 있으며 속발성 부신 피질 기능 저하는 다양한 호르몬의 작용을 조절하는 뇌하수체의 부신 피질 자극 호르몬의 분비 부전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애디슨병의 원인

당분을 에너지로 바꾸기 위해 필요한 호르몬 "코르티솔", 수분과 나트륨, 칼륨의 체내 밸런스를 정돈하는 호르몬 "알도스테론", 근육량과 성욕에 관여하는 성 호르몬 "안드로겐"과 같은 부신 피질로 생산됩니다. 호르몬이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애디슨병. 이 호르몬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원인에는 바이러스·세균에 의한 감염증 또는 자가면역 이상의 관여가 지적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전에는 결핵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 들어 진균성 감염증이나 후천성 면역부전 증후군(AIDS)을 원인으로 하는 케이스가 증가해 왔습니다. 또, 자가면역 이상을 원인으로 하는 경우는 자신의 부신 피질을 이물로서 인식해 공격하는 것으로 호르몬이 정상적으로 분비되지 않게 되어 발병하기도 합니다. 자가면역 이상에는 유전자의 관여도 지적되어 왔으며, 그 외에도 암세포의 전이나 부신피질의 출혈에 의해 발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애디슨병 증상

애디슨병 증상에는 개인차가 있지만 호르몬이 감소한 것으로 우선 식욕 부진, 전신의 권태감,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 서서히 진행해 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기나 경도의 단계에서는 왠지 의욕이 없다고 생각이 드는 정도의 증상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간과되기 쉽습니다.

애디슨병 증상이 진행되면 얼굴이나 팔꿈치, 무릎, 발바닥(발톱 아래에 있는 피부)에 생기는 검은 반점이나 젖꼭지와 입, 음낭 등에 생기는 푸른 반점 등 애디슨병 특유의 색소 침착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외에도 메스꺼움이나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 무기력감이나 불안감, 우울증 등의 정신 증상, 근력 저하, 기립성 저혈압, 근육통, 저혈당, 탈모 등 다양한 증상이 출현합니다.

검사·진단

부신피질호르몬의 저하나 증상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 혈액검사나 소변검사, CT·MRI 등을 이용한 화상검사, 호르몬치 측정 등을 실시합니다. 혈액 검사에서는 혈액 중의 부신 피질 호르몬과 부신 피질 자극 호르몬의 값을, 소변 검사에서는 소변에 포함되는 부신 피질 호르몬의 대사산물의 값을 확인합니다.

일반적인 채혈 외에, 부신피질호르몬을 늘리는 호르몬의 ACTH를 주사한 후 채혈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화상 검사에서는 복부 CT검사나 MRI검사로 부신 종양의 유무나 출혈, 석회화 등을 조사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해질 이상을 확인하거나 부신 피질에 대한 항체 검사를 실시하기도 합니다.

애디슨병 치료

부신피질호르몬(스테로이드)을 증상에 맞추어 내복이나 주사, 점적에 의해 보충하는 것이 애디슨병의 주된 치료법입니다. 중증화하여 급성 부신부전 등을 일으키고 있는 경우에는 스테로이드의 양을 늘리는 것 외에 수분이나 당분, 염분 등의 보충도 실시합니다. 애디슨병이 되면 부신기능이 회복되는 일은 거의 없기 때문에 일생동안 약을 계속 마시고 호르몬을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치료가 궤도를 타고 증상이 침착한 후에도 약을 갑자기 중단하거나 발열 등의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급성 부신부전(부신에서 나오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분비가 급격히 저하된 상태)을 일으켜 심각한 상태에 빠질 위험이 있습니다. 구두로 자신의 정보를 전할 수 없을 정도로 증상이 급격히 악화된 경우에 대비하여, 애디슨병에 상용하는 약 등에 대해서 기재한 카드를 가지고 다니는 등 리스크 관리를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방/치료 후 주의

부신피질의 기능은 회복되지는 않지만 호르몬 보충요법 등 적절한 치료를 계속하면 예후는 비교적 양호하고 문제없이 일상생활을 보낼 수 있게 됩니다. 다만, 호르몬 보충약의 복용을 멈췄다면 간혹 증상이 되돌아가거나 쇼크 죽음을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병의 치료를 자기 판단으로 중단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발열이나 스트레스, 피로에 의해 악화하는 일도 있으므로 평소 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습니다.